국내 도로조명 환경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기초사업이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도로조명 종합개선 방안 추진계획’을 마련, 실행에 들어갔다고 5일 밝혔다.
기표원은 이에 따라 유관 전문가로 구성된 ‘도로조명 표준기술연구회’를 이달 중 구성, 오는 6월까지 국내외 도로조명 기준을 분석키로 했다.
연구회는 ▲도로형태, 교통상황 등에 따른 조명등급 분류 ▲노면 휘도(노면이 얼마나 두드러져 보이는가를 나타낸 개념)의 기준 수치 조절 ▲노면 조도(밝기) 기준 설정 ▲휘도 글레어(시각적인 거슬림) 계산법과 측정법 표준화 ▲보수율 표준화 등 국내 실정에 적합한 새로운 기준을 제안할 예정이다.
이 작업에는 김훈 강원대 교수, 조미령 조명기술연구소 박사 등 10명 안팎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기표원은 연구회에서 마련한 내용을 토대로 7월께 전문가 의견 수렴과 간담회를 거쳐 9월께 도로조명분야 KS(한국산업규격) 개정안을 예고,고시할 방침이다.
또 오는 12월에는 개정된 KS를 고시하는 한편, 지방자치단체 등에 관련 안내책자를 배포할 예정이다.
채경수 기표원 연구관(전기전자표준팀)은 “이번 조치를 통해 국내 도로조명 기준이 선진국 수준으로 격상되는 단초가 마련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채 연구관은 또 “가로등 불빛을 받은 노면이 선진국에 비해 전반적으로 밝은 반면 명암차는 더 크다는 지적이 있다”며 “앞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우리 여건에 가장 부합하는 표준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기표원은 지난 2월 전문가 자문회의를 소집했으며, 지난 3월 28일에는 인천, 경기지역 등을 대상으로 현장실태조사를 마쳤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국내 도로조명 상당수가 KS에 못 미치고 있으며, 가로등을 하나 건너 하나씩 켜는 곳도 많아 교통사고 위험이 높다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고 기표원은 설명했다. |